펜윅 트리(Fenwick Tree, Binary Indexed Tree)
펜윅 트리는 효과적으로 요소를 업데이트하고 수 배열의 구간합을 계산할 수 있는 자료구조입니다. 위키피디아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: 펜윅 트리 또는 바이너리 인덱스드 트리 는 효과적으로 요소를 업데이트하고 수 배열의 구간합을 계산할 수 있는 자료구조입니다. 1989년 Boris Ryabko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으며 1992년 추가로 수정되었습니다. 펜윅 트리는 Peter Fenwick에서 이름이 유래하였습니다. 일반 배열과 비교했을 때 구간 합에 대해 배열은 선형 시간이 필요하며, 이는 배열 요소를 업데이트하는 데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. 펜윅 트리는 두 가지 작업 모두에 대해 O(log n) 시간에 수행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자료구조 필요한 이유는 다음 상황들에 대해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..
개발/Data Structure
2019. 11. 5. 01:58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코드 저작권
- 퍼포스 개요
- C# 익명함수
- Auto
- C# 람다식
- 퍼포스 스트림
- code copyright
- 구글테스트
- C++
- C7568
- UE4
- Perforce Streams
- DXGI
- c++ 핫 리로드
- P4 Streams
- 언리얼 엔진
- visual studio hot reload
- Visual Studio C1083
- MSVC C1083
- 구간합
- visual studio 핫 리로드
- c++ hot reload
- Perforce Stream
- 행렬
- C++ Compile error
- P4 Stream
- C# lambda expression
- game hot reload
- GoogleTest
- 알고리즘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